안녕하세요.

리눅스(linux)  OS를 설치한 후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윈도우에서 카카오톡이나 MS오피스와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하기 위한 것과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리눅스인  CentOS와 Ubuntu에서 프로그램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리눅스 종류  

리눅스는 다양한 종류가 있어서 조금씩 설치방법이 다릅니다.  그래서 리눅스 종류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용 기준으로 사용률이 높은 리눅스 종류는 Ubuntu, Debian, CentOS, Red Hat Enterprise Linux(RHEL)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Ubuntu, Debian, CentOS는 무료이고, RHEL은 기술지원과 컨설팅 서비스를 붙여 유료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Ubuntu 또는 CentOS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은  CentOS 서비스 중단을 발표되었다는 점입니다(CentOS 7 : 2024년, CentOS8 : 2021년),  

앞으로는 대체 리눅스를 사용해야 하는데,, Ubuntu 또는 클라우드 업체별로 제공하는 무료 linux로 넘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설명 대상 리눅스  

최근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향후에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2종 리눅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CentOS : Redhat 계열,  최근 클라우드 업체에서 제공하는 자체 무료 linux도 이 계열임 

2. Ubuntu : Debian 계열

 

3.  프로그램 설치방법 종류/장단점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설치방법은 ‘소스 패키지’ 설치방법과  ‘바이너리 패키지’ 설치방법이 사용됩니다. 

아래에 각각 내용을 정리해보았으니 참고하여주시길 바랍니다. 

서비스용 서버 운영자 입장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메인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라면 주로 ‘소스 패키지’ 설치 방법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도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주시길 바랍니다. 

 

▶  ‘소스 패키지’ 설치방법

  • 소스파일들을 패키지로 만들어서 압축해서 배포( 일반적으로 tar.gz 형태)
  • 프로그램 배포 시 기본 형태임(바이너리 패키지 형태로는 배포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 설치 시에 모듈 추가/제외, 디렉토리 설정 등 좀 더 세밀하고 자유롭게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
  • 소스코드를 컴파일해서 설치하므로 시스템에 좀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임(*)
  • 초보자의 경우 설치 과정이 몇 단계를 거쳐야 함에 따라서, 오류 생성 시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있음. 
  • CentOS&Ubuntu : 소스 패키지 설치 방법은 CentOS나 Ubuntu나 동일함. 

▶  ‘바이너리 패키지’ 설치방법

  • 소스 패키지가 성공적으로 컴파일된 후,  이 프로그램들을 묶어서 생성한 패키지
  • 사용자 입장에서는 쉽고 빠르게 프로그램 설치/삭제 등이 가능
  • CentOS : RPM(Redhat Program Manager)방식을 이용하여 패키지 프로그램을 관리(확장자 .rpm) 
  • CentOS : rpm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고 rpm저장소에서(Repository) 프로그램을 내려받아서 설치하는 yum 방식도 제공
  • Ubuntu : 기본적으로 apt와  dpkg라는 소프트웨어 관리 프로그램 제공하며 주로 apt명령어로 프로그램 관리
  • CentOS&Ubuntu : 특정 버전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사전에 특정 버전의 프로그램 검색/지정  또는  설정이 필요할 수 있음.  

 

4.  CentOS  프로그램 설치 방법  

▶ 소스 패키지 방식

  1.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2. 다운로드한 파일 압축 풀기
  3. 압축 풀 기한 프로그램 폴더로 들어가기
  4. configure 명령어
  5. make
  6. make install 
# wget  http://nginx.org/download/nginx-1.20.0.tar.gz
# tar -zxvf nginx-1.20.0.tar.gz
# cd nginx-1.20.0
# ./configure --prefix=/www/html --sbin-path=/usr/sbin/nginx --conf-path=/www/nginx/nginx.conf --http-log-path=/www/log/access.log --error-log-path=/www/log/error.log --with-pcre  --lock-path=/www/lock/nginx.lock --pid-path=/var/run/nginx.pid --with-http_ssl_module --modules-path=/etc/nginx/modules --with-http_v2_module
# make
# make install

▶ RPM방식

※ 최근에는 yum을 주로 사용하며, 특수하게 rpm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rpm으로만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주로 사용

  1. 프로그램 다운로드
  2. 설치
# wget https://nginx.org/packages/rhel/7/x86_64/RPMS/nginx-1.20.0-1.el7.ngx.x86_64.rpm
# rpm -Uvh nginx-1.20.0-1.el7.ngx.x86_64.rpm

▶  yum 방식

  1. 프로그램 설치
# sudo yum –y install nginx

 

5.  Ubuntu  프로그램 설치 방법  

▶ 소스 패키지 방식

  1.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2. 다운로드한 파일 압축 풀기
  3. 압축 풀 기한 프로그램 폴더로 들어가기
  4. configure 명령어
  5. make
  6. make install 
# wget  http://nginx.org/download/nginx-1.20.0.tar.gz
# tar -zxvf nginx-1.20.0.tar.gz
# cd nginx-1.20.0
# ./configure --prefix=/www/html --sbin-path=/usr/sbin/nginx --conf-path=/www/nginx/nginx.conf --http-log-path=/www/log/access.log --error-log-path=/www/log/error.log --with-pcre  --lock-path=/www/lock/nginx.lock --pid-path=/var/run/nginx.pid --with-http_ssl_module --modules-path=/etc/nginx/modules --with-http_v2_module
# make
# make install

▶  apt 방식

  1. 프로그램 설치
# sudo apt install nginx

※ apt가 최신 관리 명령어이며,  apt-get 명령어와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하며 apt-get옵션이 더 많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