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관리에서는 서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에 최적화된 도구 중 하나가 Netdata입니다.

이 글에서는 Netdata의 기능, 장점, 설치 방법 및 모니터링 대상 등을 소개합니다.


Netdata 소개

Netdata는 실시간 서버 모니터링 및 시각화 도구로, CPU, 메모리, 네트워크, 디스크 등 다양한 서버 자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Netdata는 웹 기반 대시보드를 제공하여, 그래프 형식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경량화된 설계 덕분에 리소스 소모가 적어 서버에 무리가 가지 않습니다.

 


▶ Netdata Github 바로가기 

▶ Netdata Website 

▶ Netdata Document

 

 

Netdata의 주요 장점

 

  •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초 단위로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서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손쉬운 설치 및 설정: Netdata는 간단한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으며, 기본 설정만으로도 대부분의 서버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모니터링 대상: CPU, 메모리, 네트워크, 디스크 입출력 등 주요 자원뿐 아니라,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주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경고 알림 기능: Netdata는 임계값을 설정하여, 서버 상태가 비정상적일 때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습니다.
  • 쉬운 데이터 분석: 직관적인 그래프와 다양한 필터 기능을 통해 서버 자원의 사용 패턴을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Netdata 운영시 주의사항/고려사항  - 중요

1. Netdata는 기본적으로  웹브라우저로  'http://localhost:19999'로 접속해서 관리콘솔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2. 관리자 PC에서 Netdata 웹콘솔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웹서비스 설정파일 수정이 필요합니다. 

3. Netdata의 웹콘솔은 기본적으로 로그인페이지가 없습니다.  그래서 웹서비스프로그램에서 기본인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다수의 서버를 관리하는 경우, 중앙 관리 서버를 통해 여러 에이전트 서버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5. Netdata의 클라우드서비스를 이용해서 온프레미스에 설치한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을 Netdata의 웹콘솔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Netdata 설치 방법

서버에 프로그램으로 설치하는 방법 및 도커를 이용한 설치 방법이 있습니다. 

설치 방법은 간단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Netdata Document

 

 

 

모니터링 대상

Netdata는 다양한 서버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모니터링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CPU 사용량: CPU 코어별 사용량, 평균 부하(load average)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사용 중인 메모리, 캐시 메모리, 스왑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네트워크 트래픽, 패킷 손실, 에러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 문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디스크 I/O: 디스크 입출력 속도, 사용량, 대기 시간 등을 모니터링하여 I/O 병목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Apache, MySQL, Redis 등 주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지표도 지원하여, 주요 서비스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Netdata는 서버 자원과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설치가 쉽고 경량화되어 서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때문에, 서버 관리자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Netdata로 서버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해보세요!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개발/서버관리를 하다보면  정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특정단어가 포함된 파일 검색방법 2가지 입니다. 

 


 

 

 

  파일명에 특정단어가 포함된 파일검색

파일명에 특정 단어가 포함된 파일을 찾고자 할 때, find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ome/user/documents 디렉터리에서 파일명에 "report"라는 단어가 포함된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find /home/user/documents -type f -name "*report*"

 

  • find: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입니다.
  • /home/user/documents: 검색을 시작할 디렉터리 경로입니다.
  • -type f: 일반 파일만 검색하도록 지정합니다.
  • -name "*report*": 파일명에 "report"라는 단어가 포함된 파일을 찾습니다. *는 와일드카드로, 앞뒤에 어떤 문자열이 와도 상관없음을 의미합니다.

▶테스트결과

 

 

  파일내용에 특정단어가 포함된 파일검색

파일 내용에 특정 단어가 포함된 파일을 찾고자 할 때, grep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ome/user/projects 디렉터리에서 파일 내용에 "function"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grep -rl "function" /home/user/documents

 

  • grep: 파일 내에서 특정 패턴을 검색하는 명령어입니다.
  • -r: 지정한 디렉터리에서 하위 디렉터리까지 재귀적으로 검색합니다.
  • -l: 해당 단어가 포함된 파일의 이름만 출력합니다.
  • "function": 찾고자 하는 특정 단어입니다.
  • /home/user/projects: 검색을 시작할 디렉터리 경로입니다.

▶테스트결과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정책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큰 파급력을 가지며, 특히 한국처럼 대미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가진 나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경제 기조인 ‘미국 우선주의’와 중국을 견제하는 대외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무역, 방위비, 친환경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도전과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됩니다. 

그래서, 그동안 인터넷을 통해서 언급된 내용과 전문기관에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영향 전망

  • 한미 무역과 수출 부담 증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은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에도 무역 압박을 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는 지난 임기 동안 관세 인상과 수입 제한 조치를 적극 사용했었고, 이번에도 한국산 제품에 추가적인 관세나 무역 규제를 도입할 수 있어요. 특히 반도체와 전기차 같은 주요 산업에서 미국 내 생산을 요구하는 규제들이 늘어날 수 있어, 한국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큽니다​​.

 

  •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
    트럼프는 과거 한국을 ‘머니 머신’이라고 언급하며,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도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한미 관계에 일정한 갈등 요소가 될 수 있어요. 이러한 외교적 부담은 기업들이 불확실성 속에서 경영 전략을 세우는 데도 영향을 미칠 수 있죠​

 

  • 친환경 및 에너지 산업의 타격
    트럼프 대통령은 에너지 산업에서 화석 연료를 중시하며 규제 완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요. 따라서 한국의 배터리와 태양광 산업이 미국에서 기회를 얻는 데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반대로 화석 연료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 석유 및 가스의 공급이 증가해 에너지 가격이 낮아질 수도 있는데, 이는 일부 제조업체들에게는 긍정적일 수 있어요.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친환경 산업에 대한 투자와 지원이 줄어들 수 있어 장기적으로 혁신 산업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중국과의 갈등 심화 가능성
    트럼프는 대중 강경 노선을 취할 것으로 보이며, 중국과의 무역 전쟁이 다시 격화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한국은 미중 갈등 속에서 ‘샌드위치’처럼 양국으로부터 압박을 받게 되며, 특히 반도체와 배터리 같은 첨단 산업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입지를 지키는 동시에, 중국과의 협력 관계를 조정해야 하는 복잡한 과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기관에서 발표한 보고서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대통령선거] 실시간 투표결과 제공 사이트  (2) 2024.11.06

몇 년전부터 ChatGPT, Bard, Claude, Midjourney, Runway, Soundraw, 브루, 캡컷, CLOVA X 등등 다양한 AI서비스가 발표되고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도 더 많은 종류의 서비스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 입장에서는 잘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던 다양한 작업들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면 됩니다. 

이를 위해서,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분류되는지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앞으로 활용 범위를 활대하길 기대해봅니다. 


 

  최근 다양한 AI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데,  통합적으로  '생성형AI‘ 라고 부른다~!

ChatGPT, Bard, Claude, Midjourney, Runway, Soundraw, 브루, 캡컷, CLOVA X 등등 다양한 AI서비스가 있는데,  이런 서비스를 '생성형 AI‘라고 부릅니다.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기존 데이터를 학습하여 텍스트, 이미지, 음악, 비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최근에는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를 자유롭게 편집하거나 동영상을 생성하고, 소리와 3D 모델까지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가 등장하며 콘텐츠 창작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간단한 지시문(prompt)을 통해 창의적이고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어, 생성형 AI는 특히 크리에이터와 비즈니스 업계에서 혁신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입니다.  

 

  생성형  AI 분류 :  (1) 콘텐츠 유형에 따른 분류

 

사용자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분류방법입니다. 

어떤 것을 생성하는지에 따른 분류로써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아래 분류에서 찾아서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 텍스트 생성 AI:
    • 자연스러운 대화, 글 작성, 번역, 요약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AI입니다.
    • ChatGPT나 Google의 Bard, Claude(Anthropic), Pi(Inflection) 같은 다양한 모델이 텍스트 생성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 이미지 생성 AI:
    • 입력된 설명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 대표적으로 DALL-E, Midjourney, Stable Diffusion 등 
    • 최근 Adobe의 Firefly는 사용자가 직접 고품질 이미지를 편집 및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업적 사용도 지원 
  • 오디오 생성 AI:
    • 텍스트 입력만으로도 음악, 음성, 사운드를 생성하는 AI로, Soundraw와 Mubert가 대표적 
    • Voice.ai, Eleven Labs는 음성 모방 기능을 통해 다양한 목소리를 생성하고, 즉시 사용할 수 있음
  • 비디오 생성 AI:
    • 간단한 텍스트로부터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는 AI로, 최근 Runway와 같은 서비스가 주목
    • Meta의 Make-a-Video도 텍스트를 기반으로 짧은 비디오를 생성하는 연구 모델을 선보임
  • 3D 모델 생성 AI:
    • NVIDIA의 GET3D, Point-E 등이 3D 모델을 생성하는 데 활용
    • 게임 및 애니메이션, 디자인 분야에서 주로 사용

 

 

  생성형  AI 분류 :  (2) AI모델구조에 따른 분류

생성형 AI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비스별로 사용하는 모델/알고리즘입니다.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 내용까지 이해할 필요는 없을 것 같지만 이런 것도 있다 정도로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GAN(생성적 적대 신경망):
    • 두 신경망(생성자와 판별자)이 서로 경쟁하면서 더 정교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구조
    • StyleGAN(이미지 생성), BigGAN(대용량 데이터 기반 생성) 등 다양한 GAN 기반 모델이 연구되고 있음
  •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
    • 대규모 언어 모델로서 자연어 처리에 강점을 가지며, ChatGPT, BERT, T5 등이 이 방식을 사용
    • OpenAI의 최신 GPT-4 모델과 Claude 등도 모두 트랜스포머 구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변형 자동 인코더(VAE):
    • 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유용한 구조
    • 특히 텍스트와 이미지 변환 작업에서 활용

 

  생성형 AI의  콘텐츠 유형별  서비스(사용자가 직접 사용 가능함)

사용자가 직접 사용해볼 수 있는 서비스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해서 사용해볼수 있습니다.  

 

 

1) 텍스트 생성 AI

  • ChatGPT (OpenAI): 대화형 AI로 다양한 질문에 대한 대답, 글쓰기, 코딩, 요약 등을 수행합니다. 최근 GPT-4 버전은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하고, 브라우저 플러그인을 통해 실시간 정보 검색이 가능합니다.
  • Bard (Google): 텍스트 기반의 생성형 AI로, 구글의 최신 검색 엔진과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문서 요약, 스프레드시트 작성까지 돕습니다.
  • Claude (Anthropic): AI 안전을 중시하여 설계된 언어 모델로, 사용자와의 대화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Pi (Inflection): 감정에 초점을 맞춘 대화형 AI로, 따뜻하고 인간적인 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심리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 ChatGPT(로그인후 화면)

 

 

▶ 뤼튼 

 

 

 

2) 이미지 생성 AI

  • DALL-E (OpenAI): 텍스트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고, 최근에는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Midjourney: 예술적이고 감각적인 이미지 생성을 목적으로 하며, 많은 디지털 아티스트들이 사용합니다. 최신 V5 모델에서는 높은 해상도와 세밀한 스타일을 지원합니다.
  • Adobe Firefly: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 및 편집을 지원하며, 상업적 사용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었습니다.
  • Stable Diffusion (Stability AI): 오픈소스 이미지 생성 모델로, 이미지 합성, 스타일 변환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 Midjourney

 

▶ Stable Diffusion(Web버전)

 

 

 

 

3) 오디오 및 음악 생성 AI

  • Soundraw: 텍스트 기반으로 다양한 분위기의 음악을 생성할 수 있어 영상 제작자들이 주로 활용합니다.
  • Mubert: 음악과 오디오를 생성하며, 특정 장르와 무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배경 음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Voice.ai, Eleven Labs: 음성을 모방하고, 다양한 목소리로 변형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Eleven Labs는 다양한 감정을 반영한 음성 생성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Soundraw

 

 

4) 비디오 생성 AI

  • Runway: 텍스트에서 비디오를 생성하거나 짧은 클립을 편집하는 데 적합하며, 최근 Gen-2 모델은 고화질 비디오 생성과 편집을 지원합니다.
  • Synthesia: 대화형 AI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기업의 홍보 영상, 교육 콘텐츠 제작에 자주 사용됩니다.
  • Meta의 Make-a-Video: 텍스트를 기반으로 짧은 비디오 클립을 자동 생성하며, 연구 단계지만 흥미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Runway

 

 

5) 3D 모델 생성 AI

  • GET3D (NVIDIA): 고해상도의 3D 모델을 생성하여 게임과 디자인, 애니메이션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Point-E (OpenAI): 텍스트에서 간단한 3D 포인트 클라우드 모델을 생성하여, 빠르게 시각화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요약정리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3D 모델 등 다양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로, OpenAI의 GPT-4, Google의 Bard, Adobe Firefly, NVIDIA GET3D 등 최신 모델들이 속속 등장하며 각각의 분야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각기 다른 모델 구조와 생성 유형으로 창의적인 작업을 지원하는 생성형 AI는 앞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더욱 넓은 가능성을 열어갈 것입니다.

 

 

 


 

 

 

 

 

 

 

 

미국의 제 47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2024년 11월 5일(EDT기준) 00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기준 6일 15시까지 이며 6일 새벽부터 개표가 시작 됩니다.

미국대통령선거 개표결과 실시간 현황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APNEWS  미국대선 실시간투표결과 

 

 

 

출처: https://apnews.com/projects/election-results-2024/

 

 

 

 

 

 


BBC 미국대선 실시간투표결과 

 

 

출처: https://www.bbc.com/korean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대선 결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전망  (6) 2024.11.07

MySQL은 웹 개발이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일반적으로 로컬 서버에서 MySQL DB를 운영하나, 여러 환경에서 원격지에서 접속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C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다양한 접속 방법과 그에 따른 설정 방법을 소개합니다.

 


 

  MySQL 원격 접속을 위한 기본 전제 조건

 

MySQL에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합니다.

  • MySQL 서버 설치 및 실행: 원격 접속을 하려는 MySQL 서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실행되고 있어야 합니다.
  • 네트워크 연결: MySQL 서버가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합니다.
  • 사용자 권한 설정: MySQL에서는 원격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를 별도로 설정해야 합니다.
  • 방화벽 설정: 원격 접속을 위해 서버의 방화벽에서 MySQL 포트(기본 포트: 3306)가 열려 있어야 합니다.

간단히 '애플계정(Apple ID)'와 '앱스토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MySQL 원격 접속 설정 방법(방법론에 따라 필요시 설정)

 

1. MySQL 서버의 원격 접속 허용하기

    • MySQL은 기본적으로 로컬 접속만 허용하며 원격 접속을 위해서는 MySQL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 설정 파일 위치: /etc/mysql/my.cnf (Linux) 또는 my.ini (Windows)
    • bind-address 값을 수정하여 모든 IP에서 접속을 허용하거나 특정 IP만 허용할 수 있습니다.

 

2. MySQL 사용자 권한 설정

    • 원격 접속을 위해서는 MySQL 사용자 계정에 대한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MySQL은 사용자에게 'localhost'에서만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3. 방화벽 설정

    • MySQL 서버가 설치된 서버에서 방화벽 설정을 확인하여 3306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방화벽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MySQL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MySQL Workbench를 사용한 원격 접속(기본)

 

MySQL Workbench는 MySQL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GUI 툴입니다. MySQL Workbench를 통해 원격으로 MySQL 서버에 접속하려면 아래 절차를 따릅니다.

이 방법은 MySQL서버가 외부에서 3306포트로 접속이 가능해야하고, MySQL계정이 원격접속이 가능한 계정이 생성되어 있을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MySQL Workbench 설치

    • MySQL Workbench는 MySQL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MySQL Workbench 다운로드

2. 새 연결 만들기

    • MySQL Workbench를 실행한 후, New Connection을 클릭하여 새로운 연결을 만듭니다.
    • 연결 정보:
      • Hostname: 원격 MySQL 서버의 IP 주소 또는 도메인
      • Port: 기본 포트는 3306
      • Username: MySQL 사용자 이름
      • Password: MySQL 사용자 비밀번호

3. 연결 테스트

    • Test Connection을 클릭하여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합니다. 문제가 없다면, OK를 클릭하여 연결을 완료합니다.

 

 

 

 

  터미널(SSH)을 통한 원격 접속

1. SSH 터널링을 사용한 MySQL 접속

ssh user@remote_server_ip

2. 원격서버에 접속한후, SSH터널에서 MySQL 접속

mysql -u ID  -p

 

 

  PHPMyAdmin을 통한 웹 기반 원격 접속

웹 서버에 PHPMyAdmin을 설치하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MySQL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PHPMyAdmin을 사용하여 원격에서 MySQL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HPMyAdmin 설치

    • PHPMyAdmin은 보통 LAMP 또는 LEMP 스택에 포함되어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접속 정보 설정

    • PHPMyAdmin 웹 인터페이스에서 MySQL 서버의 호스트(IP), 사용자명,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합니다.

3. 보안 고려사항

    • PHPMyAdmin은 보안상 취약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SSL을 사용하거나 IP 필터링을 통해 접근을 제한해야 합니다.

 

 

  MySQL Workbench로 SSH를 경유해서 접속

MySQL Workbench에서는 'Standard TCP/IP over SSH'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서버에 MySQL이 설치된 인데 MySQL 서비스포트가 오픈되지 않은 상태이고 MySQL에 원격접속 가능한 계정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격으로 MySQL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1. MySQL 프로그램 실행

2. 새로운 연결 생성을 클릭하고, Connection Method 방법에서 'Standard TCP/IP over SSH' 을 선택

 

 

 

3. 설정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 SSH 접속정보
      • SSH Hostname: ※ SSH접속하기 위한 원격서버의 공인IP:22번포트
      • SSH Username: ※ SSH접속하기 위한 원격서버의 ID(ex, root, ec2-user, ubuntu)
      • SSH Password: ※ SSH접속하기 위한 원격서버의 ID의 비밀번호
    • MySQL 접속정보
      • MySQL Hostname: ※ 디폴트로 'localhost'
      • MySQL Server Port: ※ 디폴트로 '3306'
      • Username: ※ DB접속계정의 ID
      • Password: ※ DB접속계정의 비밀번호

 

 

 

 

  heidisql로 SSH접속 경유해서 접속

heidisql 도구도 SSH로 접속한후 MySQL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방법은 위에서 설명드린 '6. MySQL Workbench로 SSH를 경유해서 접속'과 동일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 이미지출처 : www.heidisql.com

  참고사이트

 

 

MySQL은 웹 개발이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일반적으로 로컬 서버에서 MySQL DB를 운영하나, 여러 환경에서 원격지에서 접속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C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중에서 heidisql을 이용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eidiSQL이란 무엇인가요?

  • HeidiSQL은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무료 소프트웨어
  • "Heidi"를 사용하면 MariaDB, MySQL, Microsoft SQL, PostgreSQL, SQLite, Interbase 및 Firebird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 가능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구조를 편집 가능
  • 2002년 Ansgar가 발명한 HeidiSQL은 여전히 ​​MariaDB 및 MySQL에 인기 있는 도구이며, 활발하게 유지 관리 진행

 

 HeidiSQL 사용환경 

  • Windows 10/11 지원
  • (참고) MACOS용은 지원하지 않음

 

 HeidiSQL 사용환경 

  • Windows 10/11 지원
  • (참고) MACOS용은 지원하지 않음

 

 HeidiSQL 기본사용(로컬 DB접속)

  • 사용환경
    • HeidiSQL이 MySQL과 같은 PC에  설치된 환경
    • MySQL서버에서  MySQL 서비스포트가 오픈되어 있고,  원격접속이 가능한 MySQL계정이 생성되어 있는 환경
  1. MySQL과  HeidiSQL이 같은 서버에 접속해 있는 경우
  2.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기
  3. 새연결을 클릭하기
  4. MySQL접속정보를 입력하기
    • Network Type:   MySQL(TCP/IP)
    • IP는 로컬에서 접속시: 127.0.0.1,  원격으로 접속시:  DB서버의 공인IP

※ 출처:  http://www.heidisql.com

 

 

 HeidiSQL 기본사용(로컬접속, 원격으로 MySQL 직접 접속)

  • 사용환경
    • MySQL서버에서  MySQL 서비스포트가 오픈되어 있지 않거나,   원격접속이 가능한 MySQL계정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 SSH로는 원격접속이 가능한 환경 
  1. MySQL과  HeidiSQL이 같은 서버에 접속해 있는 경우
  2.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기
  3. 새연결을 클릭하기
  4. SSH tunnel 선택후,  SSH원격접속 정보를 입력  (▶ 아래 그림1  참조)   
    • SSH 실행파일:   plink.exe를 선택,  plink.exe 프로그램이 없다면 putty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plink.exe도 설치됨. 
    • SSH 호스트 + 포트:  서버공인IP, 22번포트 
    • 사용자이름:  SSH원격접속 계정의 ID
    • 암호:  SSH원격접속 계정의 비밀번호
    • 개인키파일: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음.  개인키를 이용해서 접속할 때 설정
    • 로컬포트: 디폴트로 사용 가능,  서버에서 서비스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포트로 설정 가능
  5. Setting 선택후,  원격서버의 MySQL 정보를 입력  (▶ 아래 그림2  참조)   
    • Network Type:   MySQL(SSH tunnel)
    • Library: DB종류에 맞게 설정
    • Hostname/IP:  디폴트로는 127.0.0.1 로 설정( SSH로 원격접속후, SSH에서 DB에 접속하는 입장이므로)
    • User:  Mysql 계정의 ID
    • Password:  Mysql 계정의 비밀번호 
    • Port:  Mysql 서비스포트, 기본으로는 3306

 

▶ 그림1 

 

 

▶ 그림2

 

※ 출처:  http://www.heidisql.com

 

 

 
 
 
 
 
 
 
 

 

 

 

 

iPhone16이 국내에서 2023년9월20일부터 구내에서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에는 한국이 처음으로 아이폰 1차 출시 국가에 포함되었는데요.

iPhone15를 사용자인 저에게도 매번 클릭하게 만드는 신제품입니다. 

 

(출처: apple.com)

 

 

 

▶ iPhone 16 특징

  • 카메라 컨트롤. 손가락 하나로 완벽한 사진을 찍는 편리함
  • A18. 완전히 새로운 칩으로 강력해진 iPhone 16
  • 배터리 사용 시간이 대폭 늘어남
  • 새로운 울트라 와이드 카메라. 사진을 더 가깝게, 더 탁월하게
  • Apple Intelligence를 위해 설계 

 

(출처: apple.com)

 

 

 

▶ iPhone 16 기준  스펙 

  • CPU: A18
  • 디스플레이: Super Retina XDR 디스플레이
  • 사이즈: 147.6 x 71.6 x 7.80 mm
  • 무게: 170g
  • 카메라: 첨단 듀얼 카메라 시스템, 48MP Fusion 카메라, 2배 망원 카메라, 12MP 울트라 와이트 카메라
  • 배터리: 최대 22시간 동영상 재생

 

 

▶ iPhone 16과  iPhone 16 Pro 비교

 

 

 

▶ iPhone 16 주요 스펙 & 모델 비교

 

 

(출처: apple.com)

 

 

 

 

▶ 쿠팡 이벤트  보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앱 다운로드

2. 앱설정

  •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후 설치합니다.
  • 단축키 ⌘+M (Config > Remote Config > Manage )를 실행후 추가를 클릭합니다.
  • VPN서버 담당자로부터 공유받은 정보를 추가합니다. 아래 예시를 참고하세요
  • 단축키 ⌘+S 또는 ‘Set ac system proxy enable’ 를 실행합니다. VPN이 바로 실행됩니다.

3. 참고

 

 

 

 

 

 

 

 


 

 

 

 

 

 

 

1. 앱 다운로드

  • Google Play : 'Clash for Android' 을 검색후 다운로드/설치
  • 직접 다운로드 : 다운로드링크

2. 앱실행 후 설정

  • 다운로드한 앱을 실행합니다.
  • Profile을 클릭후, +를 클릭합니다.
  • File과 URL방식중에서 URL을 클릭합니다.
  • 아래의 항목을 설정합니다.
  • 설정완료후 오른쪽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3. 앱실행 후 설정

  • 설정에서 Profile을 선택합니다.
  • 연결을 클릭합니다.
  • 처음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경우, ‘VPN 연결’ 팝업창이 뜨는데 확인을 클릭합니다.
    • (참고) 휴대폰의 설정 > VPN 으로 들어가보면 Clash 프로그램이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4. 참고사이트

 

 


 

 

 

 

 

 

+ Recent posts